코인을 사용하시는 대부분 사람들은 주로 업비트와 같은 거래소에서 사고파는 트레이딩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메타마스크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지만, 스테이킹, NFT를 이용한 GameFi와 같이 P2E를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메타마스크 개인 지갑은 필수로 가지고 있어야 진행할 수 있습니다. 크롬 또는 스마트폰에서 쉽게 사용이 가능하기에 설치해주도록 합니다.
1. 메타마스크(MetaMask) 설치
크롬 또는 앱스토어에서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블록체인을 이동시킬 경우, 스마트폰 앱을 통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로 폰에서 모든 작업을 진행합니다.
앱스토어 일 경우, 메타마스크를 검색하시고, 설치하시면 되겠습니다.
크롬일 경우, 크롬 확장 프로그램 텝에서 MetaMask 확장 프로그램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2. 메타마스크(MetaMask) 개인 지갑 만들기
설치가 완료되셨다면 이제 개인 지갑을 만들어주셔야 합니다.
새 지갑 생성을 클릭해주시고, 동의함을 클릭해주세요. 그다음 암호 생성에서 암호를 작성해주시고, Face ID도 등록하셔서 메타마스크를 접속하시는데 번거로움을 줄이시는 게 좋습니다. 그다음은 '지갑 보호하기'로 넘어가게 되는데요. 내 지갑의 보안이 관련되어 있다 보니, 집중해서 진행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계정 시드 구문 기록'으로 넘어오시면 12가지의 시드 문구가 보이게 되는데요. 이미지를 캡처한 후 소장하셔도 좋지만
여러 해킹에서 나의 시드 문구를 지키기 위해서는 종이에 적어두시는 것 또한 좋은 방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네트워크 연결하기
메타마스크는 기본적으로 이더리움 메인 네트워크로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이 원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를 해당 블록체인에 맞춰서 설정해주셔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왼쪽 상단 텝을 클릭하고, 설정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설정 내에서 네트워크를 클릭하시면 하단에 네트워크 추가 텝이 보이실 겁니다. 들어가 주시면 'POPULAR' 탭에 이용하고자 하는 체인이 있다면 이용하시면 되지만, 없을 경우 'CUSTOM NETWORKS'를 통해 네트워크를 추가해주셔야 합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메타마스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단순히 거래소에 나의 코인을 묶어두는 것보다는 스테이킹, P2E, 등 예치하여 코인 수량을 늘리시거나, 게임을 통해 재미도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다음에 또 좋은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투자 추천을 하기 위해서가 아닌, 정보 공유 및 개인 기록을 남기기 위해 작성된 것으로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